맨위로가기

토머스 모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토머스 모어는 1478년 런던에서 태어난 영국의 인문주의자, 정치가, 작가이다. 옥스퍼드 대학교에서 교육을 받았으며, 변호사로 활동하며 정치 경력을 쌓았다. 헨리 8세 치하에서 대법관을 역임했으나, 왕의 이혼 문제와 종교 개혁에 대한 입장이 달라져 갈등을 겪었다. 그는 교황의 권위를 옹호하고, 앤 볼린의 대관식에 불참하는 등 왕의 뜻에 반대하다가 1535년 반역죄로 처형되었다. 모어는 《유토피아》를 저술하여 이상 사회를 제시했으며, 그의 사상은 후대에 큰 영향을 미쳤다. 그는 가톨릭교회의 수호성인으로 추앙받고 있으며, 정치적, 종교적 신념을 지킨 인물로 평가받는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6세기 가톨릭 순교자 - 존 피셔 (성직자)
    존 피셔는 15세기 잉글랜드의 성직자이자 신학자로, 케임브리지 대학교에서 학문적 업적을 쌓고 로체스터의 주교를 역임했으며, 헨리 8세의 이혼 문제와 수장령에 반대하며 가톨릭 신앙을 옹호하다 반역죄로 처형 후 가톨릭 성인으로 시성되어 여러 곳에서 기념되고 있다.
  • 16세기 역사가 - 바르톨로메 데 라스 카사스
    바르톨로메 데 라스 카사스는 스페인의 사제이자 역사가로, 아메리카 원주민에 대한 스페인의 잔혹 행위를 목격한 후 원주민 옹호에 평생을 바쳤으며, 식민 정책을 비판하고 인디언 인권 옹호에 기여했지만 아프리카 노예제도를 옹호한 과거는 비판받고 있다.
  • 16세기 역사가 - 안토니오 피가페타
    안토니오 피가페타는 페르디난드 마젤란의 세계 일주 항해에 참여하여 항해 기록을 남긴 16세기 이탈리아의 탐험가이자 학자이다.
  • 교황 비오 11세가 시성한 성인 - 베드로 가니시오
    베드로 가니시오는 종교 개혁 시기 가톨릭 신앙을 옹호하고 독일 가톨릭 재건에 헌신하여 '독일의 두 번째 사도'로 불리는 예수회 사제이자 신학자로서, 가톨릭 교리서 집필과 헌신으로 복자 선포 후 성인이자 교회 학자로 선언되었다.
  • 교황 비오 11세가 시성한 성인 - 베르나데타 수비루
    프랑스 루르드에서 성모 마리아의 발현을 목격했다고 주장한 베르나데타 수비루는 가난한 방앗간 집안의 딸로 태어나 마사비엘 동굴에서 18차례의 성모 발현을 증언하여 루르드를 가톨릭 순례지로 만들었으며, 네베르 자선 수녀회 수녀로서 봉사 후 가톨릭 성인으로 시성되었다.
토머스 모어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토마스 모어의 초상화 (한스 홀바인)'
'서 토마스 모어의 초상화 (1527년)'
존칭 접두사존경하는 각하
존칭 접미사PC
이름토마스 모어
출생일1478년 2월 7일
사망일1535년 7월 6일 (향년 57세)
출생지시티오브런던, 잉글랜드
사망지타워힐, 런던, 잉글랜드
안장 장소성 베드로 빈쿨라 교회 (몸)
캔터베리 세인트 던스턴 교회 또는 첼시 구 교회 (머리)
배우자
자녀마거릿
엘리자베스
세실리
부모존 모어 경
아그네스 그레인저
서명
철학자 정보
지역서양 철학, 가톨릭
시대르네상스 철학
16세기 철학
학파/전통기독교 인문주의
https://marcolearning.com/wp-content/uploads/2019/09/AP-EURO-Study-Guide-Topic-1-3.pdf

르네상스 인문주의
주요 관심사사회 철학
개신교 비판
법률적 형평
양심
주목할 만한 사상유토피아
주목할 만한 저서유토피아 (1516)
(1523)
A Dialogue of Comfort against Tribulation (1553)
교육
교육 기관옥스퍼드 대학교
링컨 법학원
관직
관직명영국 대법관
임기 시작1529년 10월
임기 종료1532년 5월
군주헨리 8세
이전 관직자토머스 울지
다음 관직자토마스 오들리
관직명 1랭커스터 공국 법무관
임기 시작 11525년 12월 31일
임기 종료 11529년 11월 3일
군주 1헨리 8세
이전 관직자 1리처드 윙필드
다음 관직자 1윌리엄 피츠윌리엄
관직명 2하원 의장
임기 시작 21523년 4월 15일
임기 종료 21523년 8월 13일
군주 2헨리 8세
이전 관직자 2토마스 네빌
다음 관직자 2토마스 오들리
기타 정보
활동 분야시인
철학자
외교관
성인 정보
칭호순교자
시성일1935년
축일6월 22일
숭배 교파가톨릭 교회
성공회
시복일1886년
시복인교황 레오 13세
시성지로마
시성인교황 비오 11세
상징도끼
족쇄
수호입양아, 공무원, 궁정 서기, 법률가, 정치인, 계부모, 과부

2. 생애

토머스 모어는 평생 스콜라주의적 인문주의자로서 높은 덕망을 지닌 인물이었다. 1478년 런던에서 태어나 법률 교육을 받고 변호사 및 판사로 활동했으며,[9][10][13] 1504년 영국 하원 의원으로 선출되며 정치에 입문했다.[200] 이후 여러 관직을 거쳐 1529년에는 잉글랜드대법관 자리에 올랐다.[44][200] 그는 1516년 저술한 『유토피아』를 통해 이상적인 정치 체제를 지닌 상상의 섬나라를 묘사하며 '유토피아'라는 말을 만들어낸 것으로도 유명하다.[200]

모어의 정치 경력은 헨리 8세로마 가톨릭교회로부터 잉글랜드 교회의 독립을 선언하고 스스로 교회의 최고 수장임을 주장한 영국 종교개혁 과정에서 끝을 맺었다. 독실한 가톨릭 신자였던 모어는 교황수위권을 부정하는 국왕지상법(1534년)에 대한 선서를 거부하였고,[99] 이로 인해 1534년 4월 17일 런던탑에 투옥되었다.[99][95][96][97] 결국 1535년 7월 6일 반역죄로 참수형에 처해졌다.[201] 그는 자신의 신념을 지키다 죽음을 맞이한 인물로 평가받는다.

2. 1. 어린 시절과 교육

런던 시티의 밀크 스트리트에서 1478년 2월 7일에 태어났다.[9][10] 아버지는 성공적인 변호사이자 판사였던 존 모어 경이었고,[9] 어머니는 애그니스 그렁저였다. 그는 여섯 자녀 중 둘째였다.[10] 모어는 당시 런던 최고의 학교 중 하나로 평가받던 세인트 안토니 학교에서 교육을 받았다.[11][12]

1490년부터 1492년까지 모어는 캔터베리 대주교이자 잉글랜드대법관이었던 존 모튼의 집에서 시종으로 일했다.[13] 모튼은 인문주의(당시 "신학문"으로 불림)를 열렬히 지지했으며, 젊은 모어의 재능을 높이 평가했다.[13] 모어에게 큰 잠재력이 있다고 본 모튼은 그를 옥스퍼드 대학교에 추천하여 입학하도록 도왔다. 모어가 입학한 곳은 현재는 폐교된 세인트 메리 홀 또는 캔터베리 칼리지 중 한 곳으로 추정된다.[14]

모어는 1492년 옥스퍼드에서 학업을 시작하여 고전 교육을 받았다. 그는 토마스 리네이커와 윌리엄 그로신 밑에서 공부하며 라틴어그리스어 모두 능숙하게 익혔다.[13][15] 그러나 아버지의 뜻에 따라 옥스퍼드에서 2년 만에 학업을 중단하고, 1494년경 런던의 뉴 인(New Inn)에서 법률 공부를 시작했다.[13][15] 1496년에는 링컨스 인의 학생이 되었고, 1501년[200] 또는 1502년[13]법정 변호사 자격을 취득했다.

모어는 라틴어와 영어 모두 유창했으며 농담을 할 정도였다. 그는 시를 쓰고 번역하는 일에도 능했다.[16] 특히 이탈리아의 인문주의자 피코 델라 미란돌라에게 깊은 영향을 받아 그의 전기를 영어로 번역하기도 했다.[31]

모어의 친구이자 신학자인 에라스무스에 따르면, 모어는 한때 법률가의 길을 포기하고 수도사가 되는 것을 심각하게 고민했다고 한다.[17][18] 실제로 1503년부터 1504년까지 런던 성벽 바깥에 위치한 카르투시오 수도원 근처에 살면서 수도사들의 경건한 생활 방식에 동참하기도 했다. 그는 수도사들의 삶을 깊이 존경했지만, 결국 성직자가 아닌 평신도로 살기로 결정했다. 이후 1504년 의회 선거에 출마했고 이듬해 결혼했다.[13]

평신도로 남기로 결정한 후에도 모어는 평생 동안 금욕적인 생활을 실천했다. 그는 피부에 거친 천으로 만든 옷을 입고 지냈으며, 때때로 스스로 채찍질을 하기도 했다.[13] 성 프란치스코 제3회에서는 그를 회원으로 여기며 성인력에 기리고 있다.[19]

2. 2. 초기 정치 경력

런던의 법조인 집안에서 태어난 토머스 모어는 세인트 안토니 학교에서 수학한 후, 캔터베리 대주교이자 대법관이었던 존 모턴 추기경의 집에서 시종으로 일하며 교육을 받았다. 1492년부터 옥스퍼드 대학교에서 2년간 라틴어를 공부했으나 중퇴하고, 1494년 뉴 법학원에 입학했다. 1496년부터는 정계 진출의 지름길이자 인문주의 교육의 중심지였던 링컨 법학원에서 수학하여 1501년 법정 변호사 자격을 얻었다.[200] 이 시기 에라스무스와 친교를 맺고 많은 영향을 받았다.

1504년 영국 하원 의원으로 선출되면서 정치 경력을 시작했다.[200] 1510년부터 1518년까지 시티 오브 런던의 주 장관 대리 중 한 사람으로 활동하며 공정하고 유능한 공무원이라는 명성을 얻었다. 또한 1510년에는 런던 부시장직을 맡기도 했다.

1517년 모어는 왕의 조력을 위해 임시 섭정이자 ‘개인 공무원’으로 발탁되었다. 이후 신성 로마 제국의 카를 5세에게 파견되는 외교 사절을 맡았고, 이 공로로 1521년 기사 작위를 받았다.[200] 모어는 헨리 8세비서와 조언자가 되면서 정부 내에서 영향력 있는 인물로 부상했으며, 외국 외교관들과의 교섭, 왕실 회계국 부장관직 수행, 그리고 왕과 당시 대법관이자 요크 대주교였던 토머스 울지 추기경 사이의 조정자 역할을 하였다.

1523년 모어는 잉글랜드 하원의 의장이 되었다. 그는 의장으로서 언론의 자유를 위한 청원을 처음으로 표명한 인물로 기록된다. 이후 옥스퍼드 대학교케임브리지 대학교의 집사장직을 맡으려 했으나, 1525년 북잉글랜드의 행정과 사법을 감독하는 직책인 랭커스터 공령 상서에 임명되었다. 이러한 경력을 바탕으로 그는 1529년 관료 중 최고 지위인 대법관에 오르게 된다.[200]

2. 3. 결혼과 가족

토머스 모어의 가족


1505년, 27세의 모어는 에식스 출신 지주 존 콜트의 장녀인 조안나 "제인" 콜트(Joan "Jane" Colt, 1487년-1511년)와 결혼했다.[20] 당시 그녀는 17세였다. 전기 작가 윌리엄 로퍼에 따르면, 모어는 본래 제인의 여동생에게 마음이 있었으나, 동생이 먼저 결혼하면 언니인 제인이 상처받을 것을 염려하여 제인에게 청혼했다고 한다.[204] 에라스무스는 모어가 어린 아내에게 집에서 받은 교육보다 더 나은 교육을 시키고자 음악과 문학을 가르쳤다고 전했다.[14] 두 사람의 결혼 생활은 행복했으며, 세 딸 마거릿(Margaret), 엘리자베스(Elizabeth), 세실리(Cecily)와 아들 존(John) 네 명의 자녀를 두었다.[204][205] 제인은 거의 매년 출산하다가 1511년 24세의 나이로 사망했다.[14]

제인이 죽은 지 한 달도 채 되지 않아, 모어는 "친구들의 조언과 일반적인 관습에 반하여" 재혼했다.[23][24] 그는 어린 자녀들을 돌보고 가정을 책임질 사람으로, 7살 연상의 부유한 과부 앨리스 미들턴(Alice Middleton, 1474년-1550년경)을 선택했다.[25] 그녀는 비단 직물 상인의 미망인이었다. 결혼이 너무 빨리 진행되었기 때문에 모어는 혼인 예고 면제를 받아야 했으나, 그의 좋은 평판 덕분에 쉽게 허가받았다.[23] 앨리스는 이전 결혼에서 얻은 딸 앨리스(1501년-1563년)를 데려왔고, 모어는 그녀를 친딸처럼 키웠다. 모어와 앨리스 사이에는 자녀가 없었다. 모어는 새 아내를 “nec bella nec puella|네크 벨라 네크 푸엘라it”(“진주도 아니고 소녀도 아니다.”)라고 묘사했는데, 이는 그녀가 외모나 젊음에 크게 신경 쓰지 않았음을 시사한다. 에라스무스는 그녀의 코를 “하피의 갈고리 부리”라고 냉정하게 평하기도 했다. 두 사람은 성격 차이가 컸지만, 서로에 대한 애정은 깊었던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모어는 제인이나 자신의 딸들을 교육했던 것처럼 앨리스를 교육하는 데는 어려움을 겪었다. 모어는 자신의 묘비명에 앨리스가 의붓어머니임에도 네 자녀를 관대함과 사랑으로 보살폈다고 칭찬하며, 죽음 뒤에 다시 만나기를 희망한다고 기록했다.

모어는 당시 사회 통념과 달리 딸들에게도 아들과 동일한 수준의 고전 교육을 시켜야 한다고 주장했다.[14] 특히 장녀 마거릿은 뛰어난 그리스어라틴어 실력으로 많은 칭찬을 받았다.[14] 모어는 1522년 9월, 마거릿이 쓴 라틴어 편지를 한 주교에게 보여준 후 딸에게 보낸 편지에서 자부심을 드러냈다.

주교는 서명을 보고 여성의 편지임을 알고는 더욱 열심히 읽었고 [...] 내가 사실을 확신시켜 주지 않았더라면 당신의 작품이라고는 결코 믿지 않았을 것이며, 순수한 라틴어, 정확성, 학식, 그리고 부드러운 애정 표현에 대해 극찬을 아끼지 않았습니다. 그는 즉시 주머니에서 포르투갈 금화를 꺼내 [...] 당신에게 보내 당신에 대한 그의 호의의 증표로 삼았습니다.[27]


딸들을 교육하기로 한 모어의 결정은 다른 귀족 가문들에게 영향을 주었으며, 에라스무스조차 그들의 학문적 성취를 보고 여성 교육에 대해 더욱 긍정적인 태도를 보이게 되었다.[14]

모어는 또한 두 명의 어린 소녀의 후견인이 되었다. 한 명은 앤 크레사크(Anne Cresacre, 1511년-1577년)로, 후에 모어의 아들 존과 결혼했다.[14] 다른 한 명은 고아였던 마거릿 기그스(Margaret Giggs, 1508년-1570년)로, 모어는 그녀를 입양하여 키웠으며, 그녀는 모어의 처형을 목격한 유일한 가족 구성원이었다.[26] 모어는 다정한 아버지로서 법률이나 정부 업무로 집을 비울 때마다 자녀들에게 편지를 썼고, 자녀들이 자주 편지를 쓰도록 격려했다.[14][27]

로랜드 로키가 한스 홀바인의 원작을 바탕으로 그린 모어 가족 초상화(1594년경). 왼쪽부터 엘리자베스, 마거릿 기그스, 존 모어 경, 앤 크레사크, 토머스 모어, 존 모어, 헨리 패튼슨(광대), 세실리, 마거릿 로퍼, 앨리스 미들턴. 노스텔 수도원 소장.


토머스 모어 가족 초상화 연구, 1527년경, 한스 홀바인


모어와 그의 대가족을 그린 한스 홀바인의 대형 초상화 ''토마스 모어와 그의 가족''은 18세기에 화재로 소실되었다. 모어의 손자가 복사본 제작을 의뢰하여 현재 두 점의 복사본이 남아있다.[28] 현존하는 복사본에는 루트, 비올과 같은 악기들이 배경에 그려져 있는데, 이는 가족들의 음악 활동을 보여준다. 모어 자신도 리코더와 비올을 연주했으며,[29] 아내들과 자녀들이 가족 합주에 참여하도록 했다.[30]

모어는 아이들을 위해 런던 교외 첼시의 저택에 작은 학교를 열어 직접 가르쳤을 뿐만 아니라, 에라스무스와 같은 학자들을 강사로 초빙하기도 했다.[201]

아래는 토머스 모어의 주요 가족 구성원이다.

관계이름생몰년비고
아버지존 모어1451년경 - 1530년변호사, 판사. 아들 토머스가 헨리 7세의 과세에 반대하자 투옥됨.
어머니아그네스 그렌저(Agnes Graunger)? - ?부유한 상인의 딸.
전처제인 콜트(Jane Colt)1487년 - 1511년1505년 결혼. 에식스 지주의 딸. 4자녀 출산 후 사망.
후처앨리스 미들턴(Alice Middleton)1474년 - 1550년경1511년 재혼. 부유한 비단 상인의 미망인. 전 남편과의 딸 1명 있음.
장녀마거릿 로퍼(Margaret Roper)1505년 - 1544년윌리엄 로퍼와 결혼. 뛰어난 학식으로 유명.
차녀엘리자베스 돈시(Elizabeth Dauncey)1506년 - 1564년-
삼녀세실리 헤론(Cecily Heron)1507년 - ?자일스 헤론과 결혼.
장남존 모어(John More)1509년 - 1547년앤 크레사크와 결혼.
의붓딸앨리스 올링턴(Alice Alington)1501년 - 1563년후처 앨리스 미들턴의 딸.
양녀마거릿 기그스(Margaret Giggs)1508년 - 1570년의사 존 클레멘트와 결혼.
피후견인/며느리앤 크레사크(Anne Cresacre)1511년 - 1577년장남 존 모어와 결혼.
피후견인/사위자일스 헤론(Giles Heron)? - 1540년삼녀 세실리 헤론과 결혼. 반역죄로 처형됨.
조카프랜시스 스타버턴(Francis Staverton)? - ?누이의 아들. 모어 집안에서 교육받음.


2. 4. 대법관 임기

1529년 토머스 울지 추기경이 실각하자, 토머스 모어는 그 뒤를 이어 대법관에 임명되었다.[46] 당시 대법관은 최고 정부 장관 중 하나로, 계약 및 왕실 가사 사건을 포함한 형평법과 일반법, 일부 경범죄 항소를 담당하는 최고위 관리였다.[46] 모어는 대법관으로서 전례 없는 속도로 사건들을 처리했고,[46] 1532년에는 대기오염 방지 법안을 담당하기도 했다.[42] 또한 그는 민사 및 형사 사건, 폭동, 반란 등을 다루는 항소 법원이자 반체제 인사 재판의 최종 항소 법원 역할을 했던 별석재판소의 구성원이었다.[48][47]

모어는 평생 가톨릭 신앙을 지켰으며, 종교개혁을 부정하고 개혁 찬성파를 적극적으로 탄압했다. 그는 교황을 베드로의 후계자로서 교황수위권을 지지하며 기존 체제를 통한 평화와 사회 정의를 추구했다. 특히 성경을 영어로 번역하고 보급한 윌리엄 틴데일을 "모든 이단의 우두머리"라고 비난하며 그의 저서와 성경을 세인트 폴 대성당 앞에서 불태우도록 했다. 틴데일은 결국 1535년 체포되어 이듬해 브뤼셀에서 화형에 처해졌다.[203]

헨리 8세가 캐서린 아라곤과의 혼인 무효를 추진하고 교황 클레멘스 7세와 대립하면서 모어와의 갈등이 시작되었다. 처음에는 왕의 새로운 정책에 협력하는 듯 보였으나, 헨리 8세가 점차 교황의 권위를 부정하고 스스로 잉글랜드 국교회의 수장이 되려 하자 모어의 불안감은 커져갔다. 1529년 의회는 프레무니레 법령을 부활시켜, 왕의 권위보다 교황청과 같은 외부 권위를 지지하는 것을 범죄로 규정하며 압박을 가했다.[99]

1530년 모어는 헨리 8세의 혼인 무효를 교황에게 요청하는 귀족 및 고위 성직자들의 편지에 서명하기를 거부했고, 이단 관련 법에 대해서도 왕과 의견 충돌을 빚었다.[99] 1531년에는 왕실 칙령에 따라 성직자들에게 왕을 "그리스도의 법이 허락하는 한" 잉글랜드 국교회의 최고 수장으로 인정하는 선서를 하도록 요구받았으나, 모어는 이를 강하게 거부하며 사임 의사를 밝혔다.[58] 1532년 캔터베리 공의회의 주교들이 프레무니레로 기소될 위협 속에서 마지못해 선서에 서명하면서 이는 최종적인 성직자의 복종으로 간주되었다.[59] 존 피셔 추기경 등 일부는 끝까지 서명을 거부했다.

결국 모어는 1532년 5월 15일, 왕실의 압력으로 영국 교회 공의회가 왕의 교회 수장 지위를 인정하는 결정을 내리자 다음 날인 5월 16일 왕에게 대법관직 사임을 요청했고, 헨리 8세는 이를 수락했다.[60][61] 비록 사임했지만, 헨리 8세는 여전히 모어에 대한 개인적인 호의를 유지했던 것으로 알려져 있다.[60] 그러나 모어의 사임은 그의 종교적 신념과 왕의 정치적 야심 사이의 깊어지는 균열을 보여주는 사건이었다.

2. 5. 헨리 8세와의 갈등 및 처형

헨리 8세의 형 아서1502년에 사망하자 헨리가 왕위 계승자가 되었다. 1509년 헨리 8세는 스페인과의 동맹 유지를 위해 형의 미망인인 아라곤의 캐서린과 결혼했다. 이는 형제의 미망인과 결혼할 수 없다는 성서 구절[206]과 교회법에 어긋났기에 교황 율리오 2세로부터 특별히 관면을 받아야 했다. 캐서린이 아서와의 결혼이 완성되지 않았다고 진술한 것이 관면을 받는 데 영향을 주었다.

초기 결혼 생활은 무난했으나, 캐서린이 아들 후계자를 낳지 못하자 헨리 8세는 시녀 엘리자베스 블런트를 거쳐 앤 불린에게 마음을 빼앗겼다. 1527년 헨리 8세는 토머스 울지 추기경에게 캐서린과의 혼인을 무효로 해달라고 교황 클레멘스 7세에게 청원하도록 지시했다. 그는 교황이 성서보다 우위에 설 수 없으므로 과거 율리오 2세의 관면은 무효라고 주장했으나, 교황은 이를 거부했다. 결국 헨리 8세는 울지를 대법관직에서 해임하고 1529년 10월 토머스 모어를 임명했다. 이후 헨리 8세는 교황이 단지 로마 교회의 주교일 뿐이며 전체 교회에 대한 수위권을 가질 수 없다는 주장을 펼치기 시작하였다.

모어는 처음에는 왕의 새로운 정책에 협력하는 듯 보였다. 의회는 울지를 탄핵했고, 옥스퍼드와 케임브리지 대학 신학자들은 헨리와 캐서린의 혼인이 합법적이지 않다는 의견을 내놓았다. 그러나 헨리 8세가 교황의 권위를 본격적으로 부정하기 시작하자 모어의 불안감은 커져갔다.

모어는 이단을 교회와 사회의 평화를 위협하는 질병으로 간주했다. 그는 일찍부터 울지 추기경을 도와 루터의 서적이 잉글랜드로 유입되는 것을 막는 등 종교개혁에 반대하는 활동을 벌였다. 또한 이단 설교를 금지하는 성법원 칙령 반포를 도왔고, 자신의 이름으로 많은 반박 문서를 출판했다.

대법관 재임 시절(1529-1532), 모어는 여섯 명의 루터교 신도를 화형에 처하고 약 마흔 명을 투옥했다. 그의 주요 목표 중 하나는 윌리엄 틴들과 그의 협력자들을 색출하는 것이었다. 틴들은 성서를 영어로 번역하여 보급하다가 1525년 추방된 인물로, 모어는 그를 "모든 이단의 우두머리"라고 비난하며 그의 저서와 성경을 불태웠다.[207] 틴들은 결국 1535년 체포되어 이듬해 화형당했다.[203] 1530년 6월부터는 이단 혐의자를 주교가 아닌 왕의 추밀원에서 직접 조사하게 되면서 처벌이 더욱 엄격해졌다. 1531년에는 책 행상인 리처드 베이필드가 화형에 처해지는 등 개신교 신자 탄압이 이어졌다.

1530년 모어는 헨리 8세의 혼인 무효 요청 편지에 서명하기를 거부했다. 1531년에는 왕을 "그리스도의 법이 허락하는 만큼" 잉글랜드 교회의 수장으로 인정하는 왕위지상령 서약을 강요받자 사임을 시도했다. 결국 1532년 5월 16일, 영국 교회 공의회가 왕의 압력에 굴복하여 성직자의 복종을 결의한 다음 날, 모어는 대법관직에서 물러났다.[60][61]

1533년, 모어는 앤 불린의 왕비 대관식 참석을 거부했다. 이는 반역 행위는 아니었으나(앤의 왕비 지위를 인정하고 축복한다는 편지를 보냈기 때문[85]), 앤과 헨리 8세에 대한 명백한 반대로 해석되었다. 이후 모어는 뇌물 수수 혐의로 기소되었으나 증거 불충분으로 취하되었다. 1534년 초에는 왕의 이혼을 비난하며 죽음을 예언했던 수녀 엘리자베스 바턴과 연루되었다는 혐의(반역죄 은폐)를 받았으나, 신중하게 처신했던 덕분에 위기를 넘겼다.[89]

1534년 4월 13일, 모어는 의회가 제정한 계승법에 대한 충성 서약을 요구받았다.[90] 그는 앤을 합법적인 왕비로 인정하고 그 자녀의 왕위 계승권은 받아들였지만, 법률 서문에 담긴 교황의 권위를 부정하고 왕을 교회의 최고 수장으로 인정하는 내용에는 동의할 수 없어 서약을 거부했다.[91][95][96][97] 로체스터 주교 존 피셔도 함께 서약을 거부했다. 나흘 뒤인 4월 17일, 모어는 런던탑에 투옥되었다.

런던탑에 수감된 동안 모어는 ''고난에 대한 위로의 대화'', ''수난의 역사'' 등 경건한 저술 활동을 이어갔다.[98] 토머스 크롬웰이 여러 차례 찾아와 서약을 종용했지만 모어는 끝까지 거부했다.

1535년 7월 1일, 모어는 토머스 오들리 신임 대법관, 앤 불린의 숙부인 노퍽 공작, 아버지 토마스 불린, 오빠 조지 불린 등이 포함된 재판부 앞에 섰다. 그는 국왕의 최고 권위를 명시적으로 부정하지 않으면 유죄 판결을 내릴 수 없다는 법리("qui tacet consentire videtur|침묵하는 자는 동의하는 것으로 보인다la")[103]에 따라 관련 질문에 침묵으로 일관했다.[104] 그러나 크롬웰이 내세운 법무차관 리처드 리치는 모어가 자신에게 왕이 교회의 합법적 수장이 아니라고 말했다고 증언했다. 모어는 리치의 증언이 위증이라고 강력히 반박했으며, 다른 증인들도 해당 대화를 듣지 못했다고 증언했다.[105][106] 그럼에도 배심원단은 15분 만에 유죄 평결을 내렸다.

판결 선고 직전, 모어는 마침내 자신의 신념을 밝혔다. "세속적인 어떤 사람도 영성의 머리가 될 수 없다." 그는 또한 왕위지상법이 대헌장, 교회법, 영국법에 위배된다고 주장했다.[99] 처음에는 거열형이 선고되었으나 왕의 명령으로 참수형으로 감형되었다.[107]

1535년 7월 6일, 모어는 타워힐의 처형대에 올랐다. 그는 몰려든 군중을 향해 "나는 왕의 좋은 신하이기 전에 하느님의 착한 종으로서 죽는다"고 선언했다.[111][112] 사형 집행인에게는 "내 수염은 반역죄를 짓지 않았으니 다치게 하지 말게"라는 농담을 건넨 뒤, 목을 내놓기 전 수염을 옆으로 치웠다고 전해진다.[118] 그의 시신은 런던탑 내 성 베드로 아드 빈쿨라 왕립 예배당에 다른 반역자들과 함께 이름 없는 묘에 묻혔다. 그의 머리는 한 달간 런던 브리지에 효수되었다가 딸 마거릿 로퍼가 수습하여 캔터베리의 세인트 던스탠 성당 로퍼 가문 납골당에 안치한 것으로 여겨진다.[121][122][123]

19세기 후반에 세워진 런던 케리 거리(Carey Street)의 토마스 모어 하우스(Sir Thomas More House)에 있는 토마스 모어 경의 조각상. 건너편에는 왕립 사법원이 있다.


윌리엄 프레더릭 예임스, 사형 선고 후 딸과 만나는 토마스 모어 경, 1872


토마스 모어의 참수, 1870년 삽화


토마스 모어의 묘, 성 베드로 아드 빈쿨라 왕립 예배당


캔터베리 세인트 던스탠 교회의 토마스 모어 가문 납골당 (머리가 안치된 곳으로 추정)


=== 이단자 처벌 논란 ===

토머스 모어가 이단자들을 어떻게 다루었는지에 대해서는 상반된 평가가 존재한다. 맨 포 올 시즌에서는 양심적인 인물로 그려지지만, 힐러리 맨텔의 소설 울프 홀에서는 "메마른 광신자"로 묘사되기도 한다.[62] 당시 영국 기득권층은 프로테스탄트를 사회 질서를 위협했던 과거의 롤라드파후스파와 유사하게 보았다.[63][64]

역사가 리처드 렉스에 따르면, 모어는 대법관 재임 시절 런던에서 체포된 약 40명의 이단 혐의자 처리 과정(석방, 투옥 장소, 담당 주교 결정 등)에 관여했다.[76][65]

모어가 이단 심문 과정에서 고문을 사용했다는 주장은 그의 생전부터 있었으며, 주로 존 폭스의 ''순교자 기록''을 통해 퍼졌다.[67] 폭스는 모어가 직접 채찍질을 하거나 고문대에 올리는 것을 지켜봤다고 주장했다.[14] 그러나 존 가이[69], 다이어마이드 매컬로[70], 리처드 마리우스[71] 등 현대 역사가들은 이러한 주장을 뒷받침할 독립적인 증거가 부족하다고 지적한다. 모어 자신도 1533년 저서 Apologiala에서 고문 사실을 강력히 부인했다. 그는 이단자들을 '그들의 확실한 보호'를 위해 자신의 집에 가두었던 것을 인정했지만,[14] 체벌은 두 건의 예외적인 경우(하인의 이단적 발언, 미사 방해 행위)에만 있었다고 밝혔다.[72]

화형은 당시 영국에서 완고한 이단에 대한 표준 형벌이었으며, 모어 역시 이를 승인했던 것으로 보인다.[14][74] 모어의 대법관 재임 기간 동안 토머스 히튼, 토머스 빌니, 리처드 베이필드, 존 투크스베리, 토머스 더스게이트, 제임스 베인햄 등 여섯 명이 화형에 처해졌다.[14] 이 중 투크스베리, 베이필드, 베인햄 사건에 모어가 개인적으로 관여한 기록이 있다.[76][77][78][14]

일부에서는 모어가 요원을 고용하여 윌리엄 틴데일을 배신하고 체포되게 하여 결국 처형에 이르게 했다고 주장하지만[79], 모어 자신이 처형되기 16개월 후에 다른 나라에서 일어난 사건이라는 점에서 직접적인 연관성을 입증하기는 어렵다는 반론도 있다.[76]

3. 저술 활동

토머스 모어는 르네상스 인문주의자로서 다양한 분야에 걸쳐 많은 글을 남겼다. 그의 저술 활동은 크게 문학, 역사 서술, 종교 논쟁, 서신 교환, 영성 탐구 등으로 나눌 수 있다.

가장 널리 알려진 작품은 라틴어로 쓰인 소설 《유토피아》(1516)이다. 이 책은 가상의 이상 사회를 그리면서 당대 유럽, 특히 잉글랜드 사회의 문제점을 풍자적으로 비판했으며, 후대의 유토피아 문학 장르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모어는 또한 역사 서술에도 관심을 보여 『리처드 3세 왕의 역사』(1513년경~1518년경 집필)를 쓰기 시작했으나 완성하지는 못했다. 이 책은 리처드 3세를 부정적으로 묘사하고 있어, 튜더 왕조의 관점을 반영했다는 평가를 받기도 하며,[1][132] 윌리엄 셰익스피어의 희곡에도 영향을 주었다.

종교 개혁 시기에는 가톨릭 신앙을 옹호하며 마르틴 루터, 윌리엄 틴데일 등 개신교 개혁가들의 주장을 반박하는 다수의 논쟁적인 글을 발표했다. 대표적으로 『루터에 대한 답변』(1523), 『이단에 관한 대화』(1529), 『틴데일의 답변에 대한 반박』(1532-1533) 등이 있다. 이러한 저술들은 그의 확고한 가톨릭 신념과 보수적인 신학적 입장을 보여준다.[14]

이 외에도 모어는 당대의 다른 인문주의자들처럼 활발히 편지를 주고받았으며,[49] 런던탑에 투옥된 시기에는 신앙과 영성에 관한 깊이 있는 글들을 남겼다. 그의 저술 활동은 당대 지성사, 종교사, 정치사와 깊이 연관되어 그의 사상과 삶을 이해하는 중요한 열쇠가 된다.

3. 1. 《유토피아》

암브로시우스 홀바인의 목판화가 실린 1518년판 《유토피아》(). 여행자 라파엘 히틀로데우스가 경청자를 위해 왼손을 들어올려 유토피아 섬의 약도를 그리며 설명하는 모습이 그려져 있다.


1516년 유토피아 삽화


모어의 가장 유명하고 논란이 많은 작품인 《유토피아》(Utopiala)는 라틴어로 쓰인 프레임 내러티브 형식의 소설이다.[137] 모어는 에라스무스의 《우신예찬》과 아메리고 베스푸치의 신대륙 여행기 《신세계》(Mundus Novusla)에 영감을 받아 1515년부터 1516년에 걸쳐 이 책을 저술했다. 《신세계》를 통해 모어는 자연법에 따라 살고 사유재산을 갖지 않는 공동체 사회가 실제로 존재할 수 있다고 확신하게 되었다. 완성된 책은 친구이자 신학자인 에라스무스의 도움으로 1516년 뢰번에서 처음 출판되었다. ‘유토피아’(Utopia영어)는 모어가 만든 말로, 그리스어 '없는 곳'(οὐ|ougrc-τόπος|toposgrc)과 '좋은 곳'(εὖ|eugrc-τόπος|toposgrc)을 결합한 것이다.[138][200] 과거에는 '이상향' 또는 '무하유향(無何有郷)'으로 번역되기도 했다. 이 책은 모어가 처형된 지 16년 후인 1551년에야 영어로 번역되어 그의 고국 잉글랜드에 소개되었으며, 1684년 번역본이 가장 널리 인용된다. 유토피아 초판에는 후대에 생략된 대칭적인 '유토피아 알파벳'이 포함되어 있었는데, 이는 초기 속기 시도의 일종으로 여겨지기도 한다.

《유토피아》는 총 2권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많은 풍자를 담고 있다. 책 속에는 작가 자신인 모어와 가상의 여행자 라파엘 히틀로데우스(Raphael Hythlodaeus, 이름은 치유의 대천사 라파엘과 그리스어로 '허튼소리 하는 자'를 뜻하는 성씨를 암시한다)가 등장한다.[138]

제1권은 현실 비판에 초점을 맞춘다. 모어는 앤트워프에서 히틀로데우스, 피터 질리스, 히에로니무스 반 부슬레이덴 등과 만나 당대 유럽 사회의 여러 문제점, 특히 범죄자 처우와 토지 둘러싸기 운동(인클로저) 등에 대해 대화를 나눈다. 모어는 자신의 양심에 따라 부나 권력에 욕심 없이 사는 이상적인 삶을 제시하며, 현실 긍정을 전제로 한 마키아벨리와는 근본적으로 다른 입장을 보인다. 그는 군주들이 평화보다는 전쟁 수행에만 몰두하고, 왕의 자문관들은 왕에게 아첨한다고 비판한다. 특히, 당시 플랑드르와의 양모 거래를 위해 지주들이 농지를 목초지로 바꾸며 농민들을 내쫓는 인클로저 현상을 강하게 비판하며, "양은 본래 온순한 동물이지만, (잉글랜드에서는) 사람을 잡아먹는다"는 유명한 말을 남겼다. 이는 사유재산 제도의 폐해를 지적하는 것으로, "사유재산이 존재하고 돈이 모든 것을 측정하는 기준이 되는 곳에서는 어떤 국가도 번영하거나 공정하게 통치될 수 없다"는 주장으로 이어진다.[139] 훗날 카를 마르크스는 《자본론》에서 모어의 이 비판을 인용하여 자본의 원시 축적 과정을 설명하기도 했다.

제2권은 히틀로데우스가 자신이 여행 중에 방문했던 가상의 섬나라 '유토피아'의 제도와 풍습을 설명하는 내용이다. 유토피아는 유럽 국가들의 혼란스러운 사회와 대조적으로, 완벽하게 질서정연하고 합리적인 사회 체제를 갖춘 곳으로 묘사된다. 이곳에는 법률이 단순하고 명료하여 변호사가 필요 없으며, 사유재산 대신 공동 소유 제도가 시행된다. 남녀가 동등하게 교육받고, 무신론자는 용납되지 않지만 그 외에는 거의 완전한 종교적 관용이 이루어진다. 사회 모임은 공개적으로 이루어져 구성원들의 올바른 행동을 장려한다. 모어는 이러한 이상 사회의 모델로 수도원 공동체주의를 참고했을 가능성이 있지만, 안락사를 허용하는 등 당시 교회 교리와는 거리가 먼 급진적인 개념도 제시한다. 히틀로데우스는 신이나 사후 세계를 믿지 않는 사람은 어떤 권위나 원칙도 인정하지 않으므로 신뢰할 수 없다고 주장하는데, 이는 모어가 유토피아가 길러내는 시민의 유형에 큰 관심을 가졌음을 시사한다.[139]

《유토피아》의 핵심 메시지에 대해서는 다양한 해석이 존재한다. 일부는 이 작품이 개인의 자유보다는 사회적 질서와 규율의 중요성을 강조한다고 본다. 다른 한편에서는, 정치에 관여해서는 안 된다고 주장하는 히틀로데우스의 입을 빌려, 왕의 신하로서 자신의 인본주의적 신념과 궁정의 의무 사이에서 갈등했던 모어 자신의 고민을 투영한 것으로 해석하기도 한다. 즉, 이상적인 도덕관이 언젠가는 냉혹한 정치 현실과 충돌할 수밖에 없음을 예견했다는 것이다.

《유토피아》는 이상 사회나 완벽한 도시, 또는 그 반대인 디스토피아를 그리는 유토피아와 디스토피아 소설이라는 문학 장르를 탄생시키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 이 작품은 플라톤이나 아리스토텔레스의 고전적 이상 사회 개념과 로마 시대 수사학을 결합하여 새로운 장르를 개척했으며, 이후 프랜시스 베이컨의 《뉴 아틀란티스》, 새뮤얼 버틀러의 《이레원》, 볼테르의 《캉디드》 등 수많은 후대 작품에 영향을 미쳤다. 유토피아 문학의 전통은 계몽주의 시대를 거쳐 현대의 공상 과학 소설에까지 이어지고 있다.

3. 2. 기타 저술



토머스 모어는 윌리엄 틴데일의 신약성서 영어 번역본(틴데일 성경) 초판에 대해 여러 권의 책을 저술했다. 모어는 1529년 『이단에 관한 대화』(Dialogue concerning Heresieseng)를 저술했고, 틴데일은 1530년 『토마스 모어 경의 대화에 대한 답변』(An Answer to Sir T. More's Dialogueeng)으로 답했으며, 모어는 1532년 『틴데일의 답변에 대한 반박』(Confutation of Tyndale's Answereng)으로 재반박했다.[51] 모어는 또한 다른 여러 반 루터파 책들을 저술하거나 기고했다.

모어가 틴데일의 초기 번역을 비판한 주요 이유 중 하나는, 틴데일이 구어체라고 주장하면서도 "여호와(Jehovaheng)", "속죄양(scapegoateng)", "유월절(Passovereng)", "속죄(atonementeng)", "속죄소(mercy seateng)", "진설병(shewbreadeng)" 등 수많은 신조어를 사용했다는 점이었다.[52] 모어는 또한 틴데일이 의도적으로 일반적인 번역을 피하고 편향된 단어를 사용했다고 비난했다. 예를 들어, 그리스어 ἀγάπη(agape)에 대해 실질적인 행위인 “자선(charityeng)” 대신 감정인 “사랑(loveeng)”을 사용하고, 그리스어 πρεσβύτερος(presbyteros)에 대해 “사제(priesteng)” 대신 신조어인 “장로(senioreng)”를 사용했으며(틴데일은 이후 이를 “장로(eldereng)”로 변경했다), 그리고 “교회(churcheng)” 대신 라틴어에서 유래한 “회중(congregationeng)”을 사용했다는 것이다.[53] 틴데일의 성경에는 성경 외의 본문도 포함되어 있었는데, 틴데일의 서문 중 일부는 마르틴 루터의 직역이었고,[54] 가톨릭 교리에 도전하는 주석을 포함하고 있었다.

주목할 만한 논쟁 중 하나는 모어가 틴데일의 “회중(congregationeng)” 사용을 공격한 것이었다. 틴데일은 자신이 모어가 존경하는 에라스무스의 라틴어 번역(ἐκκλησία를 congregatio로 번역)을 따랐다고 지적했다. 모어는 에라스무스가 적절한 라틴어 단어가 없어 congregatio를 만들 필요가 있었지만, 영어에는 완벽하게 적절한 “교회(churcheng)”가 있었다고 반박하며, 단어 선택 이면에 깔린 의도와 신학이 중요하다고 주장했다. 모어는 에라스무스와 틴데일의 의도가 다르다고 보았으며, 틴데일이 이단적 사상을 고수하는 한 그를 지지할 수 없다고 밝혔다.

> 나는 나의 총애를 받는 에라스무스와 다투지 않았다. 왜냐하면 나는 나의 총애를 받는 에라스무스에게서 틴데일에게서 발견한 것과 같은 악의적인 의도를 발견하지 못했기 때문이다. 만약 내가 나의 총애를 받는 에라스무스에게서 틴데일에게서 발견한 것과 같은 교활한 의도와 목적을 발견했다면, 나의 총애를 받는 에라스무스는 더 이상 나의 총애를 받지 못했을 것이다. 그러나 나는 나의 총애를 받는 에라스무스에게서 그가 틴데일이 분명하게 가르치고 고수하는 오류와 이단을 혐오하고 싫어한다는 것을 발견했고, 그러므로 나의 총애를 받는 에라스무스는 여전히 나의 소중한 총애를 받을 것이다. 그리고 확실히 틴데일이 그러한 이단들을 결코 가르치지 않았거나, 또는 그것들을 철회할 은총이 있었다면, 틴데일도 나의 소중한 총애를 받았을 것이다. 그러나 그가 여전히 그러한 이단들을 고수하는 동안 나는 악마가 그의 총애를 받는 자로 여기는 그를 나의 총애를 받는 자로 여길 수 없다.


> — 토마스 모어[55][56][57]

1512년부터 1519년 사이에 토머스 모어는 『리처드 3세 왕의 역사』(History of King Richard IIIeng)를 집필했으나 미완성으로 남았고 사후에 출판되었다. 이 역사서는 르네상스 시대의 전기로서, 역사적 정확성보다는 문학적 기교와 고전적 원칙 준수에 더 주목할 만하다. 일부 학자들은 이 책이 리처드 3세 개인이나 요크 가문에 대한 공격이라기보다는 왕권 전제에 대한 비판으로 해석한다.[130] 모어는 중세 연대기와 달리 극적인 글쓰기 스타일을 사용했으며, 리처드 3세를 전형적인 폭군으로 묘사했다. 하지만 모어는 1485년 보즈워스 전투에서 리처드 3세가 사망했을 때 겨우 7살이었으므로, 그에 대한 직접적인 지식은 부족했다.

『리처드 3세 왕의 역사』는 영어와 라틴어로 각각 별도로 집필되었으며, 라틴어판에서는 유럽 독자층을 고려하여 일부 정보가 생략되었다.[131] 이 책은 윌리엄 셰익스피어의 희곡 『리처드 3세』(Richard IIIeng)에 큰 영향을 미쳤다. 현대 역사가들은 모어와 셰익스피어 모두 리처드 3세를 부정적으로 묘사한 이유를, 리처드 3세로부터 왕위를 빼앗은 튜더 왕조에 대한 충성심 때문으로 보기도 한다.[1][132] 모어가 젊은 시절 시종으로 섬겼던 존 모턴 대주교는 1483년 리처드 3세에 대항한 버킹엄의 난에 가담했으며, 모튼이 모어의 리처드 3세에 대한 적대감에 영향을 주었을 가능성이 제기된다.[133][134] 일부에서는 이 연대기의 실제 저자가 존 모튼 대주교이며, 모어는 단순히 원본 자료를 베끼거나 번역했을 뿐이라고 주장하기도 한다.[135][136]

1520년 개혁가 마르틴 루터는 단기간에 세 권의 중요한 책을 출판하여 오직 믿음을 통한 구원 교리를 제시하고 가톨릭 교회의 관행과 폐단을 비판했다.[14] 1521년 헨리 8세는 모어의 도움을 받아 쓴 『칠성사의 옹호』(Assertio Septem Sacramentorumlat)를 통해 루터의 비판에 공식적으로 반박했다.[140] 이에 교황 레오 10세는 헨리 8세에게 "신앙의 수호자"(Fidei defensorlat)라는 칭호를 수여했다.[14]

마르틴 루터는 헨리 8세를 "돼지, 바보, 거짓말쟁이"라고 공개적으로 비난하며 응수했다.[14] 국왕의 요청으로 모어는 1523년 말 『루터에 대한 답변』(Responsio ad Lutherumlat)을 출판했다. 이 책에서 모어는 교황의 최고 권위, 성례전, 그리고 다른 교회 전통들을 옹호했다. 모어는 루터를 "원숭이", "술꾼", "비열한 작은 수도사" 등으로 묘사하며 매우 격한 어조로 비판했다.[14] 모어는 Gulielmus Rosseus라는 가명으로 글을 썼으며,[44] 루터의 저속한 표현에 맞대응하는 방식으로 글을 전개했다.[142] 이러한 루터와의 대립은 모어의 신학적 보수주의를 더욱 확고하게 만들었고, 이후 그는 교회 권위에 대한 어떠한 비판도 용납하지 않으려는 태도를 보였다.[14]

1528년 모어는 가톨릭 교회가 그리스도와 사도들에 의해 설립된 유일한 참된 교회이며, 그 권위와 전통의 타당성을 주장하는 『이단에 관한 대화』(A Dialogue Concerning Heresieseng)를 출판했다.[14] 1529년 사이먼 피시의 『거지들을 위한 탄원』(Supplication for the Beggarseng)이 유포되자, 모어는 『영혼의 탄원』(Supplycatyon of Soulyseng)으로 반박했다. 1531년 윌리엄 틴데일이 모어의 『이단에 관한 대화』에 대한 답변서를 내놓자, 모어는 50만 단어에 달하는 방대한 분량의 『틴데일의 답변에 대한 반박』(Confutation of Tyndale's Answereng)으로 응수했다. 이 책은 모어와 틴데일 사이의 가상 대화 형식으로, 모어가 틴데일의 가톨릭 비판에 대해 조목조목 반박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14] 모어는 사회 질서와 전통을 중시했으며, 루터교와 프로테스탄트 종교 개혁이 가톨릭 신앙뿐 아니라 사회 전체의 안정을 위협한다고 굳게 믿었다.[14]

대부분의 주요 르네상스 인문주의자들처럼 모어도 다작의 편지 작가였지만, 현재 남아 있는 것은 약 280통 정도이다. 여기에는 개인적인 편지, 공식적인 정부 서신, 동료 인문주의 학자들과 주고받은 라틴어 편지, 여러 편지 형식의 논문, 운문 편지, 자신의 저서 서문, 자녀들과 그들의 가정교사에게 보낸 라틴어 편지, 그리고 런던탑에 수감되어 처형을 기다리는 동안 맏딸 마가렛과 주고받은 영어로 된 "옥중 편지" 등이 포함된다.[49] 모어는 또한 프랑스 시인 제르맹 드 브리와 같은 인물들과 논쟁을 벌이기도 했는데, 에라스무스의 중재로 분쟁이 종결되었다.

모어는 영적인 주제에 대해서도 저술했다. 『수난에 관한 논고』(A Treatise on the Passioneng), 『성체 영성체 논고』(A Treatise to Receive the Blessed Bodyeng), 그리고 『그리스도의 고뇌』(De Tristitia Christilat) 등이 있다. 마지막 저술인 『그리스도의 고뇌』는 런던탑에서 처형을 기다리며 직접 필사했다. 이 원고는 헨리 8세의 몰수 명령에도 불구하고 딸 마가렛의 유언에 따라 스페인으로 옮겨졌으며, 현재는 발렌시아의 레알 콜레지오 세미나리오 델 코르푸스 크리스티 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주요 저작 목록:

  • ''즐거운 농담'' (약 1516년)
  • ''유토피아'' (1516년)
  • ''라틴시'' (1518년, 1520년)
  • ''브릭시우스에게 보내는 편지'' (1520년)
  • ''루터에 대한 답변'' (1523년)
  • ''이단에 관한 대화'' (1529년, 1530년)
  • ''영혼의 탄원'' (1529년)
  • ''프리스에 반박하는 편지'' (1532년)
  • ''틴달의 답변에 대한 반박'' (1532년, 1533년)
  • ''사과'' (1533년)
  • ''살렘과 비잔스의 논박'' (1533년)
  • ''독약이 든 책에 대한 답변'' (1533년)
  • ''리처드 3세 왕의 역사'' (약 1513년–1518년)
  • ''네 가지 마지막 것들'' (약 1522년)
  • ''고난에 대한 위안의 대화'' (1534년)
  • ''수난에 관한 논고'' (1534년)
  • ''성체에 관한 논고'' (1535년)
  • ''교훈과 기도'' (1535년)
  • ''그리스도의 슬픔에 대하여'' (1535년)
  • 루키아누스 작품 번역 (1506년~1534년경 다수)
  • 피코 델라 미란돌라의 생애, 지안프란체스코 피코 델라 미란돌라 저 (약 1510년)

4. 사상



> — 《유토피아》 제1권

카를 마르크스는 《자본론》에서 모어의 이러한 비판을 인용하여 자본의 본원적 축적 과정을 설명했다. 모어는 아메리고 베스푸치가 신세계를 여행한 기록을 읽고 자연법에 따라 살며 사유재산이 없는 공동사회가 실제로 가능할 수 있다고 생각했다. 《유토피아》는 이러한 생각을 바탕으로, 자연법과 자연상태가 선하다는 증거로서 자유롭고 평등하며 전쟁이 없는 공산주의적인 이상 사회를 그렸다. 다만, 책에서 묘사된 공산주의적 모습은 이상향에 대한 고민을 유도하기 위한 수단이었으며, 모어 자신이 공산주의 사회를 최종적인 이상향으로 생각했다고 단정하기는 어렵다. '유토피아'는 '어디에도 없는 장소'라는 뜻이지만, 그의 사상은 후대에 큰 영향을 미쳐 '유토피아 문학'이라는 장르를 형성했다.

모어는 종교개혁에 강력히 반대하며 가톨릭교회의 권위를 옹호했다. 그는 교황을 지지하며 기존 체제를 통한 평화와 사회정의를 추구했다. 그는 윌리엄 틴데일이 성경을 영어로 번역하고 보급하자 그를 "모든 이단의 우두머리"라고 비난하며 그의 저서와 번역된 성경을 불태웠다. 결국 틴데일은 1535년 체포되어 이듬해 화형에 처해졌다.[203]

1520년 마르틴 루터가 가톨릭교회를 비판하는 세 권의 책("독일 국민의 기독교 귀족에게 보내는 호소", "교회의 바벨론 포로기에 관하여", "그리스도인의 자유에 관하여")을 출판했다.[14] 이 책들에서 루터는 오직 믿음을 통한 구원을 주장하고 일부 가톨릭 관행을 거부하며 교회 내의 남용을 비판했다.[14] 헨리 8세는 모어의 도움을 받아 1521년 ''Assertio''(주장)라는 반박문을 발표했다.[140] 이에 교황 레오 10세는 헨리 8세에게 "Fidei defensorla"("신앙의 수호자") 칭호를 수여했다.[14]

루터가 헨리 8세를 "돼지, 바보, 거짓말쟁이"라고 공개적으로 비난하자,[14] 모어는 국왕의 요청으로 1523년 말 ''루터에 대한 답변(Responsio ad Lutherum)''을 출판했다. 이 책에서 모어는 교황의 최고 권위, 성례전, 그리고 다른 교회 전통들을 옹호했다. "훨씬 더 안정적인 성격"으로 여겨졌던[141] 모어는 루터를 "원숭이", "술꾼", 그리고 다른 욕설들과 함께 "비열한 작은 수도사"라고 묘사했다.[14] 모어는 Gulielmus Rosseus[44]라는 가명으로 글을 썼으며, 루터에게 다음과 같이 격하게 응수했다.

> 당신의 존경하는 아버지께서 이러한 뻔뻔한 거짓말을 계속하는 한, 다른 사람들은 잉글랜드 국왕을 대신하여 당신의 아버지의 더러운 입, 진정 모든 더러움의 더러운 웅덩이에, 당신의 저주받은 부패함이 토해낸 모든 진흙과 더러움을 되돌려 보내고, 사제의 관의 존엄성을 박탈당한 당신의 관에 모든 하수구와 변소를 비울 수 있을 것입니다. 당신은 왕관에 못지않게 그것에 대해 광대짓을 하기로 결심했습니다.[142]

그의 말은 독자들에게 일종의 사과로 이어지지만, 루터는 자신의 말에 대해 사과하지 않았을 가능성이 높다.[142] 스티븐 그린블랫은 다음과 같이 주장한다. "모어는 그의 통치자를 위해 그리고 그의 상대의 어투로 말합니다. 루터는 스스로를 위해 말하며, 그의 외설적인 이미지는 모어가 생각해낼 수 있는 어떤 것보다도 양, 강도, 독창성에서 훨씬 뛰어납니다. 모어에게 외설은 일반적으로 공동체의 반감을 표현하는 것이지만, 루터에게는 깊은 개인적인 분노를 표현하는 것입니다."[143]

루터와의 대립은 모어의 신학적 보수주의를 확고히 했다. 그는 그 이후로 교회 권위에 대한 어떤 비판의 기미도 피했다.[14] 1528년 모어는 가톨릭 교회가 그리스도와 사도들에 의해 설립된 유일한 참된 교회이며, 그 권위, 전통, 관습의 타당성을 확언하는 또 다른 종교 논쟁 ''이단에 관한 대화(A Dialogue Concerning Heresies)''를 출판했다.[14] 1529년 사이먼 피시의 ''거지들을 위한 탄원(Supplication for the Beggars)''의 유포는 모어가 ''영혼의 탄원(Supplycatyon of Soulys)''으로 답하도록 만들었다.

1531년, 모어의 아버지가 돌아가신 지 1년 후, 윌리엄 틴데일은 모어의 ''이단에 관한 대화''에 대한 답변으로 ''경 토마스 모어의 대화에 대한 답변(An Answer unto Sir Thomas More's Dialogue)''을 출판했다. 모어는 50만 단어에 달하는 ''틴데일의 답변에 대한 반박(Confutation of Tyndale's Answer)''으로 응답했다. ''반박''은 모어와 틴데일 사이의 가상 대화이며, 모어는 가톨릭 의식과 교리에 대한 틴데일의 비판에 대해 하나하나 대응한다.[14] 사회에서 질서, 전통, 그리고 질서를 폭정과 오류에 대한 안전장치로 여겼던 모어는 루터교와 일반적인 프로테스탄트 종교 개혁이 가톨릭 신앙뿐 아니라 사회 전체의 안정에도 위험하다고 굳게 믿었다.[14]

공산주의적 재산관 때문에 칼 마르크스, 프리드리히 엥겔스, 칼 카우츠키로부터 "공산주의 영웅"으로 칭송받았던[5] 토마스 모어는 소비에트 공산주의 하에서 모스크바의 자유 기념비(혁명 사상가 기념비로도 알려짐, 알렉산드르 정원 오벨리스크 참조)[183] 맨 위에서 아홉 번째 위치에 이름을 올렸다. 인류를 압제, 독단, 착취로부터 해방시키는 데 기여한 가장 영향력 있는 사상가 중 한 명으로 여겨졌다.[184] 이 기념비는 1918년 레닌의 제안으로 크렘린 근처 알렉산드로프스키 정원에 세워졌다.[5][185][184]

'''대소비에트백과사전'''의 영어 번역판(1979년)은 모어를 "유토피아 사회주의의 창시자", 사유재산이 폐지된 사회(가족이 "공산주의적 삶의 세포"인 사회)를 최초로 묘사한 사람, 그리고 "사회주의 혁명을 통해 이상적인 사회가 달성될 것이라고 믿지 않았지만", "후대 개혁가들, 특히 모렐리, G. 바베프, 생시몽, C. 푸리에, E. 카베 및 기타 유토피아 사회주의 대표자들에게 큰 영향을 미쳤다"는 사상가로 묘사했다.[186]

모어의 저서 ''유토피아''는 윌리엄 모리스와 같은 사회주의자들에게도 영감을 주었다.[187]

많은 사람들은 모어의 공산주의 또는 사회주의를 순전히 풍자적인 것으로 본다.[187] 1888년, 칼 카우츠키는 모어의 공산주의를 칭찬하면서 "당황한" 역사가와 경제학자들이 종종 ''유토피아''(장소가 없다는 뜻)라는 이름을 "모어 자신이 자신의 공산주의를 실행 불가능한 꿈으로 여겼다는 미묘한 암시"로 보았다고 지적했다.[164]

러시아의 노벨 문학상 수상자이자 반공주의 작가인 알렉산드르 솔제니친은 그의 저서 ''수용소 군도''에서 소비에트 공산주의가 생존을 위해 노예화와 강제 노역이 필요했으며, 이는 "…토마스 모어, 사회주의의 증조부, 그의 ''유토피아''에서 이미 예견되었다"고 주장했다.[188]

2008년, 홍콩에서는 로버트 볼트의 희곡 ''모든 사람을 위한 한 사람''(A Man for All Seasons)의 번역 및 수정된 버전에서 모어가 중국 공산당에 저항하는 범민주 진영의 우화적 상징으로 무대에 등장했다.[189]

5. 평가 및 유산

토머스 모어의 성격과 행동에 대한 현대 학자들의 견해는 다양하게 나뉜다. 피터 애크로이드와 같은 일부 전기 작가들은 당시의 격동적인 종교적 상황과 게르만 농민 전쟁과 같은 위협 속에서 모어의 프로테스탄트 반대 운동을 이해하려 하며 비교적 관용적이거나[80] 긍정적인[81] 시각을 보인다.[82][83] 반면, 종교 개혁 연구자인 리처드 마리우스 등 다른 학자들은 모어의 이단 박해가 그의 초기 인문주의적 신념에 대한 배신이며[72] "정신분열적"[76]이라고 비판하기도 한다.[84]

2000년 교황 요한 바오로 2세는 모어를 정치인들의 수호성인으로 선포하며, "그의 이단에 대한 행동이 그의 시대 문화의 한계를 반영한다 하더라도, 그는 도덕적 양심의 가치를 특별한 방식으로 보여주었다"고 평가했다.[145] 법조계에서는 오스트레일리아 고등법원 판사였던 마이클 커비가 모어가 대법관으로서 자신의 신념(유토피아에서 사형을 비판했던 것)과 달리 왕의 법을 집행해야 했던 딜레마를 지적하며, 그가 스스로를 국가 법률 권력의 도구로 여겼을 수 있다고 해석하기도 했다.

법률가로서 모어는 형평의 원리를 영국 법에 확립하는 데 기여했으며,[170] 그의 대법관 임명 이후 성직자보다는 변호사가 대법관이 되는 경향이 강해졌다.[169]

모어의 가장 유명한 저작인 『유토피아』는 이상 사회를 그리는 유토피아와 디스토피아 소설이라는 문학 장르를 탄생시켰다. 이 책에서 묘사된 공동 소유 개념 때문에 칼 카우츠키와 같은 마르크스주의 이론가들은 모어를 사회주의 사상의 선구자로 보기도 했으나,[164] 많은 사람들은 이를 풍자적인 묘사로 해석한다.[187] 모어는 자신의 신념을 지키다 순교한 점과 인문주의 학자로서의 면모로 인해 후대에 지속적인 관심과 논쟁의 대상이 되고 있으며, 로버트 볼트의 희곡 및 영화 ''모든 계절을 위한 사람'' 등 다양한 문화 작품을 통해 재조명되고 있다.

5. 1. 시성 및 수호성인

1886년 12월 29일, 교황 레오 13세는 토머스 모어와 존 피셔, 그리고 다른 52명의 영국 종교개혁 순교자들을 시복하였다.[144] 이후 1935년 5월 19일, 모어가 순교한 지 400년이 되던 해에 교황 비오 11세는 영국 가톨릭 신자들의 청원을 받아들여 존 피셔와 함께 모어를 시성하였다.[144] 이로써 모어는 가톨릭교회의 성인으로 공인되었으며, 한때 반종교적 공산주의에 반대하는 정치수호성인이라는 이미지를 얻기도 했다. 당시 영국 언론은 시성식에 대해 "최소한의, 적대적인" 반응을 보였으며, 의회와 대학들은 공식적으로 이를 보이콧했다고 전해진다.[147]

첼시 올드 교회의 토머스 모어 조각상, 체인워크, 런던.


토머스 모어의 서명.


모어의 축일은 처음 시성되었을 때는 7월 9일이었으나,[144] 1970년 이후 일반 로마력에서는 존 피셔의 처형일인 6월 22일에 두 성인을 함께 기념하고 있다. 2000년 10월 31일, 교황 요한 바오로 2세는 모어를 "국가 원수와 정치가들의 천상의 수호성인"으로 선포하였다.[145] 그는 또한 변호사, 독일 가톨릭 청년 단체인 가톨릭 청년 공동체(Katholische Junge Gemeinde) 등의 수호성인이기도 하다.[146] 현재 대한민국성공회 성인 명단에도 토머스 모어의 이름이 수호성인으로 올라와 있다.

잉글랜드 성공회1980년, 종교 개혁에 대한 모어의 강력한 반대에도 불구하고, 그와 존 피셔를 "성인과 기독교 교회의 영웅들" 달력에 개혁 순교자로 추가하였다. 이에 따라 모어의 처형일인 7월 6일에 "토머스 모어, 학자, 그리고 존 피셔, 로체스터 주교, 개혁 순교자, 1535"로서 기념하고 있다.[8][148] 이 기념일은 캔터베리와 교류하는 오스트레일리아, 브라질, 캐나다, 남아프리카 공화국 등 전 세계 성공회 교회에서 인정받고 있다.[149] 성공회에서 모어를 인정하게 된 배경에는 로즈 매콜레이가 제기한 '모어의 분열되지 않은 성공회 신자'라는 역설적 주장과 같은 오랜 전통[149], 그리고 1960년대 연극 및 영화 ''모든 사람을 위한 한 사람''의 영향이 큰 것으로 분석된다.[149] 이 작품은 모어에게 "양심의 권리를 옹호하는 사람"이라는 대중적 이미지를 부여하며 그의 삶을 널리 알렸다.[149]

모어의 성격과 행동에 대한 현대 학자들의 견해는 엇갈린다. 피터 애크로이드와 같은 일부 전기 작가들은 당시의 격변하는 종교적 분위기와 게르만 농민 전쟁과 같은 위협 속에서 모어의 프로테스탄트 반대 운동을 해석하며 비교적 관용적이거나[80] 긍정적인[81] 시각을 보인다.[82][83] 반면, 종교 개혁 연구자인 리처드 마리우스 등 다른 학자들은 모어의 이단 박해가 그의 초기 인문주의적 신념에 대한 배신이며[72] "정신분열적"[76]이라고 비판한다.[84] 요한 바오로 2세는 2000년 모어를 정치인의 수호성인으로 선포하면서 "그의 이단에 대한 행동이 그의 시대 문화의 한계를 반영하더라도, 도덕적 양심의 가치를 특별한 방식으로 보여주었다"고 평가했다.[145] 오스트레일리아 고등법원 판사이자 국제 법률가 위원회 회장이었던 마이클 커비는 모어가 대법관으로서 자신의 신념(유토피아에서 사형을 비판했던 것)과 달리 사형 집행에 관여해야 했던 상황을 지적하며, 모어가 스스로를 국가 법률 권력의 도구로 여겼을 것이라고 해석하기도 했다.

5. 2. 현대적 평가

토머스 모어의 성격과 행동에 대한 현대 학자들의 견해는 다양하게 나뉜다.

일부 전기 작가들, 예를 들어 피터 애크로이드는 당시 격변하는 종교적 분위기와 게르만 농민 전쟁과 같은 재앙의 위협 속에서 모어의 행동을 이해하려 하며, 그의 프로테스탄트 반대 운동에 대해 비교적 관용적이거나[80] 긍정적인[81] 시각을 보인다. 모어는 마르틴 루터를 강하게 비판했는데, 이는 에라스무스를 포함한 당시 많은 지식인들도 마찬가지였다.[82][83]

반면, 종교 개혁 연구자인 리처드 마리우스와 같은 학자들은 더 비판적인 견해를 제시한다. 이들은 모어가 이단에 대해 열렬하고 기록으로도 남은 몰살 옹호 입장을 보인 것이 그의 초기 인본주의적 신념을 배신한 행위라고 본다.[72] 이러한 모순적인 모습은 "정신분열적"이라고 평가받기도 한다.[76] 그는 "열렬한 법률가... 잔혹함의 가려움증을 가진" 인물로 묘사되기도 한다.[84]

교황 요한 바오로 2세는 2000년 10월 모어를 정치인들의 수호성인으로 선포하며 그를 기렸다. 교황은 "그의 이단에 대한 행동이 그의 시대 문화의 한계를 반영한다 하더라도, 그는 도덕적 양심의 가치를 특별한 방식으로 보여주었다"고 평가했다.[145]

오스트레일리아 고등법원 판사이자 국제 법률가 위원회 회장을 역임한 마이클 커비는 모어에 대해 다음과 같이 언급했다.

: 모어가 대법관직에서 사임한 것은 그가 직책을 맡고 있는 한 왕의 법을 따라야 한다는 사실을 인정한 것을 보여줍니다. 판사와 변호사가 특별히 좋아하지 않는 행위를 해야 하는 경우가 종종 있습니다. 예를 들어, 유토피아에서 모어는 사형이 비도덕적이고 비난받을 만하며 정당화될 수 없다고 썼습니다. 그러나 대법관으로서 그리고 왕의 고문으로서 그는 분명 수백 명의 사람들을 사형에 처하는 데 참여했는데, 이는 불안한 생각입니다. 의심할 여지 없이 그는 자신을, 이전과 이후의 많은 판사들이 그랬던 것처럼, 국가의 법적 권력의 단순한 도구로 보았습니다.

모어가 자신의 종교적 신념을 굳건히 지키고 투옥, 재판, 처형 과정에서도 품위를 유지한 불굴의 의지와 용기는 사후 그의 명성을 높이는 데 크게 기여했으며, 특히 로마 가톨릭교도들 사이에서 존경받았다. 그의 친구 에라스무스는 모어의 성품을 "눈보다 더 맑다"고 옹호했고, 그의 천재성을 "영국이 전에도, 그리고 앞으로도 결코 가져본 적 없을 만한 것"이라고 묘사했다.[150] 모어의 처형 소식을 들은 신성 로마 제국 황제 카를 5세는 "만약 우리가 그런 신하를 거느렸다면, 우리 영토에서 가장 좋은 도시를 잃는 것보다 그처럼 가치 있는 고문관을 잃는 것이 더 괴로웠을 것이다"라고 말했다.[151]

영국 성공회에서 로마 가톨릭으로 개종한 작가 G. K. 체스터턴은 모어가 "가장 위대한 영국인이 되거나, 적어도 영국 역사상 가장 위대한 역사적 인물로 여겨질 것"이라고 예측했으며,[152] "모어의 마음은 폭군이 부술 수 없어서 도랑에 버린 다이아몬드와 같았다"고 적었다.[153]

역사가 휴 트레버로퍼는 모어를 "우리가 알고 있다고 느끼는 최초의 위대한 영국인, 가장 성스러운 인본주의자, 가장 인간적인 성인, 우리 북부 르네상스의 보편적 인물"이라고 칭했다.[154]

성공회 신자였던 작가 조너선 스위프트는 모어를 "이 왕국이 낳은 가장 큰 덕을 지닌 인물"이라고 평가했다.[155][156][157] (이 인용구는 때때로 새뮤얼 존슨의 것으로 잘못 알려지기도 하지만, 존슨의 저술에는 나타나지 않는다.[158][159]) 스위프트는 모어를 소크라테스, 브루투스, 에파미논다스, 주니우스와 같은 위인들과 같은 반열에 놓았다.[160]

형이상학파 시인 존 던은 성공회 달력에도 기념되는 인물이며,[161] 모어의 증조카였다.[162] 미국 상원의원 유진 매카시는 자신의 사무실에 모어의 초상화를 걸어두었다.[163]

칼 카우츠키와 같은 마르크스주의 이론가들은 모어의 『유토피아』를 근대 이전 유럽의 경제적, 사회적 착취에 대한 비판으로 간주하며, 모어가 사회주의 사상 발전에 영향을 미쳤다고 주장한다.[164] 1963년에는 모어와 그의 저술 분석에 초점을 맞춘 학술지 『Moreana』가 창간되었다.[165] 2002년 BBC가 실시한 가장 위대한 영국인 100인 설문조사에서 모어는 37위를 차지했다.[166]

모어는 변호사이자 팸플릿 작가인 크리스토퍼 세인트 저메인과 여러 논쟁을 벌였다. 형평에 대한 여러 쟁점에는 동의했지만, 비밀 증인 사용이나 전문 증거 채택 가능성에 대해서는 의견이 달랐다. 모어는 세인트 저메인이 종교 재판소를 비판하는 것을 피상적이거나 무지하다고 여겼다.[167] 모어와 세인트 저메인의 형평에 대한 견해는 부분적으로 15세기 인문주의 신학자 장 쥐르송(Jean Gerson)의 영향을 받았는데, 쥐르송은 개별 상황에 대한 고려가 예외가 아닌 표준이 되어야 한다고 주장했다.[168]

모어 이전에는 영국의 대법관(Lord Chancellor)이 주로 성직자였지만, 모어 이후로는 변호사가 대법관이 되는 경향이 강해졌다.[169] 1999년 영국 법조인들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에서 모어는 밀레니엄 말기에 필요한 법의 미덕을 가장 잘 구현한 인물로 선정되었다. 이는 양심의 우월성에 대한 그의 견해와 형평의 원리를 대법원을 통해 영국 세속법에 실질적으로 확립한 그의 역할 때문이었다.[170]

유토피아에서 묘사된 공산주의적 재산관 때문에 칼 마르크스, 프리드리히 엥겔스, 칼 카우츠키 등으로부터 "공산주의 영웅"으로 칭송받았던[5] 토머스 모어는 소비에트 공산주의 하에서 모스크바의 자유 기념비(알렉산드르 정원 오벨리스크) 맨 위에 이름이 새겨진 아홉 명 중 한 명으로 기록되었다.[183] 그는 인류를 압제, 독단, 착취로부터 해방시키는 데 기여한 가장 영향력 있는 사상가 중 한 명으로 여겨졌다.[184] 이 기념비는 1918년 레닌의 제안으로 크렘린 근처 알렉산드로프스키 정원에 세워졌다.[5][185][184]
대소비에트백과사전의 영어 번역판(1979년)은 모어를 "유토피아 사회주의의 창시자", 사유재산이 폐지된 사회(가족이 "공산주의적 삶의 세포"인 사회)를 최초로 묘사한 사람으로 평가했다. 또한 "사회주의 혁명을 통해 이상적인 사회가 달성될 것이라고 믿지는 않았지만", 모렐리, 바베프, 생시몽, 푸리에, 카베 및 기타 유토피아 사회주의 대표자들에게 큰 영향을 미친 사상가로 기술했다.[186] 모어의 『유토피아』는 윌리엄 모리스와 같은 후대의 사회주의자들에게도 영감을 주었다.[187]

그러나 많은 사람들은 모어의 공산주의 묘사를 순전히 풍자적인 것으로 해석한다.[187] 1888년, 칼 카우츠키는 모어의 공산주의를 칭찬하면서, 일부 역사가와 경제학자들이 '유토피아'(Utopia, '없는 곳'이라는 뜻)라는 이름 자체를 "모어 자신이 자신의 공산주의를 실행 불가능한 꿈으로 여겼다는 미묘한 암시"로 해석하려는 경향이 있다고 지적하며 이를 비판했다.[164]

한편, 러시아의 노벨 문학상 수상자이자 반공주의 작가인 알렉산드르 솔제니친은 그의 저서 『수용소 군도』에서 소비에트 공산주의가 생존을 위해 노예화와 강제 노역을 필요로 했으며, 이는 "사회주의의 증조부인 토머스 모어가 그의 『유토피아』에서 이미 예견했던 것"이라고 주장하며 비판적인 시각을 드러냈다.[188]

2008년 홍콩에서는 로버트 볼트의 희곡 ''모든 사람을 위한 한 사람''의 번역 및 각색 버전이 무대에 올랐는데, 여기서 모어는 중국 공산당에 저항하는 범민주 진영의 우화적 상징으로 그려졌다.[189]

5. 3. 문화적 영향



토머스 모어는 자신의 종교적 신념을 굳건히 지키고 투옥, 재판, 처형 과정에서도 품위를 유지한 불굴의 의지와 용기로 인해 사후에 높은 평가를 받았다. 특히 로마 가톨릭교도들 사이에서 그의 명성이 높다. 그의 친구인 에라스무스는 모어의 성품을 "눈보다 더 맑다"라고 옹호했고, 그의 천재성을 "영국이 전에도, 그리고 앞으로도 결코 가져본 적 없을 만한 것"이라고 묘사했다.[150] 모어의 처형 소식을 접한 신성 로마 제국카를 5세 황제는 "만약 우리가 그런 신하를 거느렸다면, 우리 영토에서 가장 좋은 도시를 잃는 것보다 그처럼 가치 있는 고문관을 잃는 것이 더 괴로웠을 것이다"라고 말했다.[151]

영국 성공회에서 로마 가톨릭으로 개종한 G. K. 체스터턴은 모어가 "가장 위대한 영국인이 되거나, 적어도 영국 역사상 가장 위대한 역사적 인물로 여겨질 것"이라고 예측했으며,[152] "모어의 마음은 폭군이 부술 수 없어서 도랑에 버린 다이아몬드와 같았다"라고 적었다.[153] 역사가 휴 트레버로퍼는 모어를 "우리가 알고 있다고 느끼는 최초의 위대한 영국인, 가장 성스러운 인본주의자, 가장 인간적인 성인, 우리 북부 르네상스의 보편적 인물"이라고 불렀다.[154] 성공회 신자인 조너선 스위프트는 모어가 "이 왕국이 낳은 가장 큰 덕을 지닌 인물"이라고 평가했다.[155][156][157] 형이상학적 시인 존 던은 모어의 증조카였다.[162] 미국 상원의원 유진 매카시는 자신의 사무실에 모어의 초상화를 걸어두기도 했다.[163]

모어의 가장 유명한 작품인 『유토피아』는 이상적인 사회나 완벽한 도시, 또는 그 반대의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토피아와 디스토피아 소설이라는 문학 장르를 탄생시켰다. 『유토피아』는 유럽 국가들의 논쟁적인 사회생활과 유토피아 및 그 주변 지역의 완벽하게 질서정연하고 합리적인 사회 체제를 대조적으로 보여준다. 유토피아에는 법의 단순성, 공동 소유, 남녀 교육 평등, 거의 완벽한 종교적 관용 등이 존재한다. 이 작품은 프랜시스 베이컨의 『뉴 아틀란티스』, 새뮤얼 버틀러의 『이레원』, 볼테르의 『캉디드』 등 후대 작가들에게 영향을 미쳤다.

『유토피아』에서 묘사된 공동 소유 개념 때문에 칼 마르크스, 프리드리히 엥겔스, 칼 카우츠키와 같은 마르크스주의 이론가들은 모어를 "공산주의 영웅"[5]으로 칭송하기도 했다. 이들은 『유토피아』를 근대 이전 유럽의 경제적, 사회적 착취에 대한 비판으로 간주하며 모어가 사회주의 사상 발전에 영향을 미쳤다고 주장했다.[164] 소비에트 연방 시절, 1918년 레닌의 제안으로 모스크바 크렘린 근처 알렉산드르 정원에 세워진 자유 기념비(혁명 사상가 기념비)에는 인류 해방에 기여한 사상가 중 한 명으로 모어의 이름이 포함되었다.[183][184][5][185] '''대소비에트백과사전'''(1979년 영어 번역판)은 모어를 "유토피아 사회주의의 창시자"로 묘사하며 후대의 모렐리, 바베프, 생시몽, 푸리에, 카베 등에게 큰 영향을 미쳤다고 평가했다.[186] 윌리엄 모리스와 같은 사회주의자들도 『유토피아』에서 영감을 받았다.[187]

그러나 많은 사람들은 모어의 공산주의나 사회주의 묘사를 순전히 풍자적인 것으로 해석하기도 한다.[187] 칼 카우츠키는 1888년에 일부 역사가와 경제학자들이 '유토피아'(장소가 없음)라는 이름 자체를 모어가 자신의 공산주의를 실행 불가능한 꿈으로 여겼다는 암시로 해석한다고 지적했다.[164] 반공주의 작가 알렉산드르 솔제니친은 『수용소 군도』에서 소비에트 공산주의 체제 유지에 필요한 노예화와 강제 노역이 이미 모어의 『유토피아』에 예견되어 있었다고 주장했다.[188] 애런 S. 젤만은 『국가 대 국민』에서 모어가 진정으로 경찰 국가를 옹호했는지 아니면 반어적이었는지 명확히 결론 내리지 않으면서도, 『유토피아』가 레닌볼셰비키에 영향을 미쳤을 가능성을 시사했다.

모어는 다양한 문학 및 예술 작품에서 다루어졌다. 윌리엄 로퍼가 쓴 모어의 전기는 현대 영어로 쓰인 최초의 전기 중 하나이다. 1592년경 헨리 체틀, 앤서니 먼데이, 윌리엄 셰익스피어 등이 공동 집필한 희곡 ''토마스 모어 경''은 모어를 현명하고 정직한 정치가로 묘사한다.[171][172] 20세기 작가 로버트 볼트의 1960년 희곡 ''모든 계절을 위한 사람''은 모어를 자신의 원칙을 지키다 헨리 8세와 충돌하는 비극적 영웅으로 그렸다. 이 희곡은 1966년 프레드 지네만 감독, 폴 스코필드 주연의 동명 영화로 제작되어 아카데미 작품상을 수상했고, 스코필드는 남우주연상을 받았다.

반면, 힐러리 맨텔의 소설 3부작(늑대 홀, 시체를 가져와, 거울과 빛)에서는 토머스 크롬웰의 관점에서 모어를 프로테스탄트를 박해하는 냉담한 인물로 묘사한다. 문학 비평가 제임스 우드는 모어를 "처벌에 잔혹하고, 논쟁에서 회피적이며, 권력에 대한 욕심이 많고, 정치적으로 억압적"이라고 비판했다.[176] 피터 애크로이드와 같은 전기 작가들은 모어를 정교한 철학자이자 문학가이며 교황청의 권위를 믿었던 열렬한 가톨릭 신자로 묘사하며 보다 동정적인 시각을 제공한다.

모어는 여러 영화와 TV 시리즈에서도 등장했다.

작품명연도매체배우
모든 계절을 위한 사람1966년영화폴 스코필드
천일의 앤1969년영화윌리엄 스콰이어
헨리 8세와 그의 여섯 부인들1972년TV 시리즈마이클 굿리프
신의 무법자: 윌리엄 틴데일의 이야기1986년영화버나드 아처드
모든 계절을 위한 사람1988년TV 영화찰턴 헤스톤
튜더스2007년~2010년TV 시리즈제러미 노섬[177]
헨리 8세: 폭군의 마음2009년다큐멘터리 시리즈라이언 키겔
울프 홀2015년TV 미니시리즈안톤 레서
스페인 공주2019년~2020년TV 시리즈앤드류 부찬[178]



이 외에도 모어는 R. A. 라퍼티의 소설 ''과거의 거장'', 칼 추하르트의 소설 ''바보 같이 죽어라!'', 워커 퍼시의 소설 주인공, 알 스튜어트나 파, 신스의 노래 등 다양한 문화 콘텐츠에서 언급되거나 영감을 주었다. 1963년에는 모어와 그의 저술 분석에 초점을 맞춘 학술지 『Moreana』가 창간되었고,[165] 2002년 BBC의 가장 위대한 영국인 100인 설문조사에서 37위를 차지했다.[166] 샌프란시스코 대학교에서는 1968년부터 2007년까지 주목할 만한 개인 서적 수집가들에게 토머스 모어 경 메달을 수여했다.[179][180][181][182] 2008년 홍콩에서는 로버트 볼트의 희곡 ''모든 계절을 위한 사람''이 번역, 각색되어 모어가 중국 공산당에 저항하는 범민주 진영의 상징으로 등장하기도 했다.[189] 2024년 비디오 게임 메타포어: 리판타지오의 이야기는 모어라는 이름의 등장인물이 쓴 허구의 유토피아 책을 중심으로 전개된다.

참조

[1] 웹사이트 Topic 1.3: The Northern Renaissance https://marcolearnin[...]
[2] 웹사이트 St. Thomas More https://www.savior.o[...] 2024-05-29
[3] 논문 Thomas More as a renaissance humanist https://doi.org/10.3[...] 1980
[4] 웹사이트 The Trial of Sir Thomas More: A Chronology http://law2.umkc.edu[...]
[5] 서적 Renaissance Humanism: An Anthology of Sources https://books.google[...] Hackett Publishing 2014
[6] 웹사이트 The Center for Thomas More Studies: Canonization of Thomas More http://www.thomasmor[...] 2012-04-14
[7] 웹사이트 Jubilee of parliament and government members, proclamation of Saint Thomas More as patron of statesmen https://www.vatican.[...]
[8] 웹사이트 Holy Days http://www.churchofe[...] Church of England 2011-04-20
[9] 웹사이트 The Life of Sir Thomas More http://www.luminariu[...] 2009-06-13
[10] 논문 St. Thomas More As Judge and lawyer https://ir.lawnet.fo[...] 1941-01-01
[11] 웹사이트 Sir Thomas More http://www.biography[...] 2014-01-30
[12] 웹사이트 Thomas More: Always a Londoner http://tudortimes.co[...] 2019-05-01
[13] 서적 Utopia Barnes & Noble
[14] 서적 The Life of Thomas More Anchor Books
[15] 서적 The Life and Death of Sr Thomas More Early English Text Society
[16] 서적 Delphi Collected Works of Sir Thomas More (Illustrated) https://books.google[...] Delphi Classics 2023-08-28
[17] 서적 Utopia https://archive.org/[...] WW Norton & Co
[18] 웹사이트 Erasmus to Ulrich von Hutten https://thomasmorest[...]
[19] 웹사이트 Franciscan Calendar http://taucrossregio[...]
[20] 백과사전
[21] 서적 Ecclesiastical Antiquities of London and Its Suburbs Burns & Oates 1874
[22] 서적 The field is won; the life and death of Saint Thomas More Bruce Pub. Co 1968
[23] 서적 Thomas More: A Portrait of Courage Scepter Publishing
[24] 서적 Encyclopedia of Tudor England https://books.google[...] ABC-CLIO
[25] 서적 Lincolnshire Pedigrees Harleian Society
[26] 기타
[27] 서적 Selected Letters https://archive.org/[...] Yale University Press
[28] 기타
[29] 논문 Extended Play: Reflections of Heinrich Isaac's Music in Early Tudor England http://eprints.hud.a[...] 2011-01
[30] 서적 Music & Poetry in the Early Tudor Court https://books.google[...] CUP Archive 1961
[31] 서적 The Oxford Reformers. John Colet, Erasmus and Thomas More https://reformationc[...] Longmans, Green and Co 1869
[32] 논문 Erasmus and More: A Friendship Revisited 2010-05
[33] 논문 The Theory of Friendship in Erasmus and Thomas More 2006
[34] 웹사이트 Brethren of the Christian humanist life, Christian History Magazine https://christianhis[...] 2023-07-29
[35] 기타
[36] 서적 Translated by Gerald Malsbary & Mary Taneyhill
[37] 편지 Erasmus to John Faber (later Bishop of Vienna) 1532
[38] 편지 Erasmus to Conrad Goclenius (Chair of Latin, Louvain) 1535-09-02
[39] 논문 Thomas More: First and Best Apologist for Erasmus 2021-06
[40] 웹사이트 History of Parliament http://www.historyof[...] History of Parliament Trust 2011-10-13
[41] 서적 Two Early Tudor Lives Yale 1962
[42] 논문 Erasmus' Medical Milieu https://www.jstor.or[...] 2023-07-28
[43] 서적 Chambers Biographical Dictionary 1990
[44] 서적
[45] 논문 Wolsey, the Council and the Council Courts https://www.jstor.or[...] 1976
[46] 논문 Council, Star Chamber, and Privy Council under the Tudors: II. The Star Chamber https://www.jstor.or[...] 1922
[47] 논문 Review of A Study of the Court of Star Chamber https://www.jstor.or[...] 1901
[48] 웹사이트 English Court of Star Chamber: A Brief History https://www.thoughtc[...] 2023-10-16
[49] 서적 Portrait of Courage
[50] 서적 The Germans in England, 1066–1598 Associated Faculty Press, Incorporated 1915
[51] 논문 The Debate Between Thomas More and William Tyndale, 1528–33: Ideas on Literature and Religion 1988-07
[52] 웹사이트 Words "Fitly Spoken": Tyndale's English Translation of the Bible https://rsc.byu.edu/[...] 2023-07-30
[53] 웹사이트 William Tyndale's Concept of the Church https://www.christia[...] 2023-07-30
[54] 논문 William Tyndale and the Course of the English Reformation 1996-01
[55] 논문 Thomas More: First and Best Apologist for Erasmus 2021-06
[56] 서적 Thomas More, The Complete Works of St Thomas More, vol. 8 173
[57] 서적 Thomas More: the search for the inner man https://books.google[...] Yale University Press 1990
[58] 서적 Tudor Constitutional Documents: A. D. 1485–1603 https://books.google[...] CUP Archive 2021-06-15
[59] 서적 Thomas More: A Portrait of Courage https://books.google[...] Scepter Publishers
[60] 서적 Defending Royal Supremacy and Discerning God's Will in Tudor England https://books.google[...] Routledge
[61] 서적 The Cambridge Companion to Thomas More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62] 웹사이트 A Historical Perspective on “Wolf Hall”: Thomas Cromwell and Thomas More Revisited https://unireadinghi[...] 2024-12-02
[63] 논문 Richard Rex, ed., Henry VIII and Martin Luther: The Second Controversy, 1525–1527 2022-12
[64] 웹사이트 Documents on the changing status of the English Vernacular, 1500–1540 http://www.ric.edu/f[...] RIC 2008-03-11
[65] 논문 William Warham and English heresy policy after the fall of Wolsey 2004-08-01
[66] 논문 Torture and Truth in Renaissance England https://www.jstor.or[...] 1991
[67] 서적 The Cambridge Companion to Thomas Mor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1
[68] 논문 From Tyndale to Madison
[69] 서적 The public career of Sir Thomas More Harvester Pr 1980
[70] 서적 Thomas Cromwell: a life Penguin Books 2018-09-27
[71] 서적
[72] 서적 Thomas More: A Biography Harvard University Press
[73] 서적 Tudor England Oxford
[74] 서적 Thomas More: A Biography https://books.google[...] Harvard University Press
[75] 서적 The Constitutional History of England: A Course of Lectures https://books.google[...] University Press
[76] 학술지 Thomas More and the heretics: statesman or fanatic? 2011-01-27
[77] 서적 Tyndale's New Testament Yale University Press
[78] 서적 The Confutation of Tyndale's Answer Yale
[79] 서적 If God spare my life: William Tyndale, the English Bible and Sir Thomas More-- a story of martyrdom and betrayal Little, Brown
[80] 서적 The Life of Thomas More https://books.google[...] Chatto & Windus
[81] 서적 Thomas More https://books.google[...] John Wiley & Sons
[82] 서적
[83] 웹사이트 Thomas More as statesman https://web.archive.[...] The Center for Thomas More Studies 2001-10-31
[84] 학술지 The Great Dissembler https://www.lrb.co.u[...] 1998-04-16
[85] 서적 The Life and Death of Anne Boleyn
[86] 서적 The Religious Orders in England Cambridge University Press
[87] 서적 Women and Religion in England: 1500–1720 Routledge
[88] 서적 The Life of Thomas More https://books.google[...] Knopf Doubleday Publishing Group
[89] 서적 Great Englishmen of the Sixteenth Century https://archive.org/[...] Archibald Constable, Limited
[90] 백과사전 St. Thomas More http://www.newadvent[...]
[91] 서적 The Cambridge Companion to Thomas More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92] 서적 The Tudor constitution: documents and commentary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93] 서적 A Thomas More Source Book https://books.google[...] The Catholic University of America Press
[94] 서적 Thomas More's Utopia: Arguing for Social Justice https://books.google[...] Routledge
[95] 서적 Utopia https://books.google[...] Broadview Press
[96] 서적 Policy and Police: The Enforcement of the Reformation in the Age of Thomas Cromwell https://books.google[...] CUP Archive
[97] 서적 The Twentieth Century, Volume 30 https://books.google[...] Nineteenth Century and After
[98] 학술지 Review of Book: St Thomas More's History of the Passion 1942-04
[99] 서적 Thomas More's Trial by Jury: A Procedural and Legal Review with a Collection of Documents https://books.google[...] Boydell & Brewer Ltd
[100] 서적 Voices of the Reformation: Contemporary Accounts of Daily Life https://books.google[...] ABC-CLIO
[101] 웹사이트 Annotated original text http://home.freeuk.n[...] 2017-11
[102] 서적
[103] 서적 Thomas More's Trial by Jury: A Procedural and Legal Review with a Collection of Documents Boydell & Brewer Ltd
[104] 서적 Thomas More's Trial by Jury: A Procedural and Legal Review with a Collection of Documents https://books.google[...] Boydell & Brewer Ltd
[105] 서적 Lying in early modern English culture : from the Oath of supremacy to the Oath of allegiance Oxford University Press
[106] 웹사이트 The Trial and Execution of Sir Thomas More http://law2.umkc.edu[...]
[107] 서적 The Household of Sir Thomas More https://archive.org/[...] C. Scribner
[108] 서적 The comprehensive history of England, from the earliest period to the suppression of the Sepoy revolt https://books.google[...] Blackie and Son
[109] 서적 Life and Writings of Sir Thomas More: Lord Chancellor of England and Martyr Under Henry VIII https://archive.org/[...] Burns & Oates
[110] 서적 The Oxford Dictionary of Quotations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111] 웹사이트 Letters and Papers, Foreign and Domestic, Henry VIII, Volume 8, January–July 1535 https://www.british-[...] University of London 2022-06-26
[112] 서적 Liturgy and Empire: Faith in Exile and Political Theology https://books.google[...] Emmaus Road Publishing
[113] 서적 Liturgy and Contemplation in Byrd's Gradualia https://books.google[...] Routledge
[114] 서적 Pedro de Ribadeneyra's 'Ecclesiastical History of the Schism of the Kingdom of England' https://books.google[...] BRILL
[115] 서적 A Collection of the most remarkable Trials of persons for High-Treason, Murder, Heresy ... https://books.google[...] T. Read
[116] 서적 The Life and Letters of Sir Thomas More https://archive.org/[...] Burns & Oates
[117] 서적 Sir Thomas More His Life and Times: Illustrated from His Own Writings and from Contemporary Documents https://books.google[...] Charles Dolman
[118] 간행물 The History of England
[119] 서적 A Daughter's Love: Thomas & Margaret More Fourth Estate
[120] 서적 Life and Writings of Sir Thomas More: Lord Chancellor of England and Martyr Under Henry VIII https://archive.org/[...] Burns & Oates
[121] 학술지 The Head of Simon Sudbury https://books.google[...] British Archaeological Association
[122] 웹사이트 Lady Margaret Roper and the head of Sir Thomas More http://www.lynsted-s[...] 2017-07-24
[123] 서적 Notices of the Historic Persons Buried in the Chapel of St. Peter Ad Vincula: In the Tower of London https://books.google[...] J. Murray
[124] 백과사전 St. Thomas More http://www.newadvent[...]
[125] 서적 Little Book of Dorset https://books.google[...] History Press
[126] 서적 Shrines of Our Lady in England https://books.google[...] Gracewing Publishing
[127] 웹사이트 St. Thomas More's hair shirt now enshrined for public veneration https://www.thecatho[...] Catholic Telegraph 2016-11-21
[128] 웹사이트 Hair-shirt worn by St Thomas More is enshrined for public veneration for possibly the first time https://www.dioceseo[...] Diocese of Shrewsbury 2022-03-31
[129] 웹사이트 Thomas More to Erasmus, 1533 http://people.uncw.e[...]
[130] 학술지 An Unthinkable ''History of King Richard the Third'': Thomas More's Fragment and his Answer to Lucian's ''Tyrannicide'' 2014
[131] 서적
[132] 서적 Soul of the age : the life, mind and world of William Shakespeare Viking 2008
[133] 서적 Shakespeare and the remains of Richard III Oxford University Press 2013
[134] 서적 The Cambridge Companion to Thomas Mor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1
[135] 서적 Richard III: His Life and Character, reviewed in the light of recent research http://www.gutenberg[...] Smith, Elder & Co.
[136] 학술지 Thomas More's Richard III: Probing the Limits of Humanism. https://www.jstor.or[...] 2015-12-01
[137] 서적 More's Utopia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3-10-31
[138] 서적
[139] 학술지 The Politics of Enclosure in Thomas More's Utopia http://www.yorku.ca/[...] 2000
[140] 서적 The Defence of the Seven Sacraments https://books.google[...] Dalcassian Publishing Company 2019-11-05
[141] 서적 The Catholic Church Through the Ages: A History https://books.google[...] Paulist Press
[142] 서적 Rex
[143] 서적 Learning to Curse: Essays in Early Modern Culture https://books.google[...] Routledge
[144] 학술지 St. Thomas More, lawyer https://ir.lawnet.fo[...]
[145] 간행물 Apostolic letter issued motu proprio proclaiming Saint Thomas More Patron of Statesmen and Politicians https://www.vatican.[...] Vatican.va 2000-10-31
[146] 웹사이트 Thomas Morus http://www.kjg.de/?i[...] 2016-07-01
[147] 학술지 Persecution and the Dialogue of Comfort: A Fresh Look at the Charges against Thomas More https://www.jstor.or[...] 1965
[148] 웹사이트 The Calendar https://www.churchof[...] 2021-03-27
[149] 서적 Reformation Reputations: The Power of the Individual in English Reformation History Springer International Publishing
[150] 서적 The Seekers: The Story of Man's Continuing Quest to Understand His World https://books.google[...] Random House Digital, Inc.
[151] 웹사이트 Sir Thomas More http://www.britannic[...]
[152] 서적 The Fame of Blessed Thomas More Sheed & Ward
[153] 서적 The Well and the Shallows https://books.google[...] Good Press 2021-11-09
[154] 간행물 A Man for all Seasons: an Historian's Demur http://www.catholice[...] 2002-03-01
[155] 웹사이트 Writings on Religion and the Church, Vol. I. by Jonathan Swift: Ch. 14: Concerning that Universal Hatred http://www.online-li[...]
[156] 서적 Prose Works of Jonathan Swift Oxford UP
[157] 웹사이트 Reputation https://web.archive.[...] Thomas More Studies 2011-04-14
[158] 웹사이트 A Man of Enduring Conscience http://www.catholicc[...] Catholic Culture via Trinity Communications
[159] 서적 Sir Thomas More's Fame Among His Countrymen Sheed & Ward
[160] 학술지 The Image of Thomas More in the Age of Enlightenment https://www.persee.f[...] 1987
[161] 웹사이트 The Calendar https://www.churchof[...] Church of England 2021-03-23
[162] ODNB Donne, John (1572–1631)
[163] 학술지 Irish Perspectives on the Vietnam War
[164] 웹사이트 Thomas More and his Utopia Part 3 Chapter 5 The Aim of Utopia https://www.marxists[...] 1888-01-01
[165] 학술지 Review of ''Miscellanea Moreana: Essays for Germain Marc'hadour'' 1992
[166] 서적 The Tudors on Film and Television McFarland
[167] 서적 The One Thomas More https://www.jstor.or[...] Catholic University of America Press 2012
[168] 학술지 Some Aspects of Jean Gerson's Legal Influence in Sixteenth Century England: The Issue of Epikeia 2017-04-01
[169] 서적 The History of the English Constitution William Clowes 1886
[170] 학술지 The Conscience of Thomas More: An Introduction to Equity in Modernity https://oro.open.ac.[...] 2022-01-01
[171] 서적 The Occasion of the Book of Sir Thomas Mor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72] 서적 Introduction Manchester University Press
[173] 학술지 Sanctus martyr Thomas Morus : an unknown Neo-Latin More play from the College of Marchiennes 2022-06-01
[174] 서적 Beyond the snow : the life and faith of Elizabeth Goudge Westbow 2015
[175] 서적 Paul Scofield: An Actor for All Seasons Applause Books
[176] 서적 The Broken Estate: Essays on Literature and Belief https://books.google[...] Picador
[177] 서적 History, fiction, and the Tudors : sex, politics, power, and artistic license in the Showtime television series Palgrave Macmillan 2016
[178] 뉴스 TV News Roundup: 'The Spanish Princess' Sets New and Returning Cast https://variety.com/[...] 2019-09-26
[179] 웹사이트 USF perhaps considering to sell rare books https://web.archive.[...] 2021-05-19
[180] 웹사이트 Sangorski Manuscript a Top Lot at PBA's Sale of Dr. Elmer Belt's Collection https://www.finebook[...] 2021-05-19
[181] 간행물 Aims in Book Collecting Gleeson Library Associates
[182] 웹사이트 Lord Wardington https://www.oxfordma[...] 2021-05-19
[183] 서적 Names on an obelisk Progress Publishers 1983
[184] 웹사이트 The Center for Thomas More Studies Art > Gallery > Moscow https://web.archive.[...] The Center for Thomas More Studies at The University of Dallas 2014-12-20
[185] 서적 Thomas More https://books.google[...] Arnold
[186] 웹사이트 "Thomas More." The Great Soviet Encyclopedia, 3rd Edition. 1970–1979. The Gale Group, Inc. https://encyclopedia[...] The Free Dictionary [Internet] 1979
[187] 백과사전 St. Thomas More http://www.newadvent[...]
[188] 서적 Enslavement Enslavement and Emancipation] and Emancipation https://books.google[...] Infobase Publishing 2010
[189] 서적 "Postcolonial Hong Kong Drama Translation" in "Beyond Borders: Translations Moving Languages, Literatures and Cultures" https://books.google[...] Frank & Timme GmbH
[190] 서적 Thomas More : the saint and the society; addresses and articles on St Thomas More further published to commemorate the Golden Jubilee of the foundation of the St Thomas More Society on 14th August 1945 St Thomas More Society 1995
[191] 서적 Shakespeare Jest Book 1525-03-23
[192] 서적 Memorials of Old Chelsea Elliot Stock 1892
[193] 서적
[194] 서적 The London Encyclopædia Macmillan 1983
[195] 서적 Survey of London Monograph 9, Crosby Place https://www.british-[...] Committee for the Survey of the Memorials of Greater London 1908
[196] 웹사이트 Thomas More Comes to Chelsea https://web.archive.[...] Royal Borough of Kensington and Chelsea
[197] 서적 The Oxford guide to literary Britain & Ireland. Oxford University Press 2008
[198] 웹사이트 St Katharine's Dock http://www.exploring[...] Exploring East London
[199] 서적 Das Haupt des Thomas Morus in der St. Dunstan-Kirche zu Canterbury VS Verlag für Sozialwissenschaften
[200] 서적 トマス・モア 三修社
[201] 간행물 トマス・モアとイギリスの人文主義女子教育 http://human.kanagaw[...] 2014-08-25
[202] 기타
[203] 서적 종교개혁사 합동신학대학원출판부
[204] 기타
[205] 기타
[206] 성경
[207] 뉴스 성서, 영어 번역하고 화형당한 영국의 루터 윌리엄 틴데일 (下) http://news.kmib.co.[...] 2012-01-0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